BUK-SU, our portrait standing on the threshold of new boundaries
BUK-SU (2022)
BUK-SU, our portrait standing on the threshold of new boundaries

There is another artist, who produces one’s own stories out in the world, by putting extra strength to her voice. The medium to share the stories of the created objects is her first individual show. It is a curated exhibition under a specific theme that she wanted to share to the world and communicate with, not a mere compilation of her past creations. The times she was running a studio, producing the artworks that she has planned herself under the name of the studio, are becoming part of a chapter of the past. The artist is taking a step into the passage that is leading to a new world where her eyes lay.

The theme encompassing the new chapter is ‘BUK-SU’. It is an alternative word for the well-known Jangseung (Korean traditional totem pole). Jangseung works as a signpost at the entrance of avillage or a temple, signifying the border into the new place. It also functions as a guardian stopping bad energies entering the village. It is the object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pirations of a community, resembling the averaged face value of the villagers. From a documentary on traditional culture which she had repeatedly se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en it was difficult to go outside, the artist found herself in the face of Beoksu, moreover a self-portrait of mankind facing difficulties at a global level. The word ‘tradition’ holds ambivalence. It is something significant yet not considered nor experienced significantly; it is often abused and causes one to be injured; it is an abstract object nobody truly knows, devoid of the centre and the truth.

Artist Jeongeun Kang, who had quietly been attuning to her work while running studio VONZ, aspires to draw a potential change for herself and in us all through her individual exhibition, <BUK-SU>.
The artworks placed in the exhibition space embodies the production methodologies that has been experimented and accumulated exquisitely for numerous years, but as one pays attention to the individual stories of each artwork, the story of the artist will be connected to one’s own story. What would the year 2022 Beoksu of the artist Jeongeun, of you and us look like? How will the internal stories of us be documented, and recreate new stories?


KANG JEONG EUN SOLO EXHIBITION
NOVEMBER 16 -22, 2022
Gallery DOS
 
 
벅수, 새로운 경계의 문턱에 선 우리의 초상

“살아 있는 자들이 진정으로 알고 싶어 하는 유일한 것은 자신의 미래다. 진정으로 만나고 싶어 하는 것은 좋은 미래다. 언어 공동체에 속하는 우리가 이 좋은 미래를 만나는 방법은 좋은 미래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는 것이다. 한 새로운 세계의 창조 앞에는 언제나 언어와 이야기가 있어왔다. 그러니 살아 있는 자의 심장에서 나온 살아 있는 이야기는 우리 모두를 살아 있게 하는 데 필수적이다. 한 사람의 좋은 이야기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된다. 좋은 이야기는 우리의 내면 깊은 곳에 ‘부드럽게’ 각인되고 남아서 우리의 자아를 바꾼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부드러움 중 가장 믿을 수 없을 만큼 부드러운 것은 인간의 변화다.” 
(정혜윤, <슬픈 세상의 기쁜 말> 15~16쪽 중에서)

이전보다는 조금 더 목소리에 힘을 주어 자신만의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는 또 하나의 작가가 있다. 자신이 만든 무언가에 대해 이야기하는 매체는 다름 아닌 첫 개인전. 그간의 작업을 모은 개인전이 아닌, 관객에게, 세상에게 알리고 공유하며 함께 대화하고 싶은 주제에 맞춰 새로이 제작한 주제전이다.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자신이 기획하고 만든 작업들을 스튜디오의 이름으로 내놓던 지난 시간들은 이젠 과거의 한 챕터가 되어간다. 작가는 새로운 세계로 가는 통로 앞 문턱을 눈앞에 두고 발을 내딛기 때문이다. 
새로운 챕터를 아우루는 주제는 우리나라 전통 문화유산인 ‘벅수’. 우리가 흔히 아는 장승의 다른 말이다. 장승은 마을이나 사찰 입구 등에서 새로운 장소의 경계를 알리는 이정표의 역할을 하고,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수호신이기도 하며, 해당 마을 사람들의 얼굴의 평균값이기도 한, 공동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향한 염원까지 담긴 대상이다. 작가는 코로나로 외출이 어려운 시간 동안 자주 보던 전통문화 다큐멘터리에서 마주한 벅수에서 자신의 모습을, 더 크게는 전지구적 어려움에 직면한 인류의 자화상을 본다.
‘전통’이란 용어에는 양면성이 있다. 중요하다 하면서 실제 중요하게 여기거나 체감하지 못하고,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악용되어 다치는 이가 있기도 하며, 그 누구도 잘 알지 못해 오히려 중심은 하얗게 비어버린, 추상적인 실체 없는 것이기도 하다.
스튜디오 본즈를 운영하며 그간의 작업에 조용히 귀를 기울인 강정은 작가는 이번 개인전 <벅수>을 통해 자신의, 그리고 우리 모두에 잠재된 변화를 꾀한다. 전시 공간 속에 놓인 작품에는 작가가 수년 동안 실험하고 정교하게 쌓아 올린 제작 기법들이 녹아 있지만, 작품 하나하나가 건네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다 보면 작가의 이야기는 곧 나의 이야기로 연결될 것이다. 2022년의 강정은 작가의, 당신의, 그리고 우리의 벅수는 어떤 모습일까. 전시장에 기록될 우리 내면의 이야기는 어떻게 기록되고 새로운 이야기를 또 만들어낼까.